시간의 궤적

[곰브리치 세계사 中] 이슬람 : 무함마드, 알라

think-25 2024. 7. 25. 09:14

600년 경, 아랍인
-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처럼 별을 숭배
- 메카(오아시스 도시)의 한 성전(카바)안에 안치되어있는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별을 경배

562, 무함마드 탄생
- 메카의 성전을 지키는 귀한 가문(부유하지는 않음) 출생
- 카라반과 함께 낙타를 몰며 장거리 여행을 하는 일을 하고, 여섯명의 아이를 낳고 사촌 알리도 양자로 들임
- 메카에서 높은 존경을 받음, ‘정의로운 자’로 불림
- 메카의 가바로 온 아랍인 순례자뿐 아니라 아비시니아(현 에티오피아)에서 온 크리스트교도, 아랍의 유대인들과도 대화를 즐겨나눔. 유대인과 크리스트교도의 이야기에서 특히 유일신에 깊은 인상을 받음.
- 가브리엘의 환영을 봄(3년 후 재차 봄)  : 유일신의 위대함을 알리라는 신의 명령
- 무함마드 : 자신을 예언자, 인간에게 신의 뜻을 전하는 대변자로 느낌 -> 메카에서 신의 가르침을 설파
- 카바를 지키는 메카의 사제들 : 무함마드와 추종자와 어울려서는 안된다는 공문발표
- 메카와 적대관계의 오아시스 도시(유대인들 다수 거주)에서 온 순례자들은 무함마드의 설교에 썩 만족
- 적대관계의 부족에게 설교하고 가까워지는 무함마드를 대역죄로 처벌하기로 결정,
- 모든 신봉자를 자신에게 우호적인 사막 도시(후일 예언자의 도시라는 뜻에서 메디나로 불림)로 피신
**
622년 7월 16일 무함마드,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(헤지라 : 무함마드 신봉자들의 연도 계산 기점)
- 메디나에서 신자들을 가르침
- “신이 아브라함과 모세를 통해 유대인에게 나타났고, 그리스도의 입을 통해 인간을 가르쳤으며 이제는 자신을 예언자로 선택했다.”
- “알라 신 이외에는 그 무엇도, 그 누구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. 우리는 신의 뜻에 복종할 도리 밖에 없다.”
- 이슬람 : 아랍어로 ’복종‘, 자신의 교리를 이슬람이라 칭함
- 쿠란 : 무함마드의 가르침이 담긴 글 전부, 천국을 아름답게 묘사->싸우다 죽어도 좋을 만한 보상
**
메디나 인 : 예언자 무함마드의 복수를 하고 가라반을 약탈하기 위해 메카로 향함 (싸움팽팽)
무함마드 1500명의 무장 신봉자를 이끌고 메카 순례를 감행
메카의 다수가 무함마드의 신봉자가 됨
-> 무함마드가 대군을 이끌고 와 메카를 정복, 우상들만 성전 밖으로 내쫒고 주민들은 해치지 않음

632, 세상을 뜨기 직전 4만 명의 순례자 앞에서 설교를 하고 세상을 하직
- 알라 외에는 어떤 신도 없으며 무함마드는 신의 예언자이고 모든 불신자는 굴복시켜야 한다
- 하루 다섯 번 메카를 향해 기도하고 술은 마시지 말며 언제나 용감하라

칼리프
: 무함마드의 후계자들
- 아부 바크르, 우마르 (정통 칼리프) : 백성을 이끌고 이웃나라를 정벌하러 나섬
- 무함마드 사후 6년간 피비린내 나는 싸움을 벌임
- 638 팔레스타인(예루살렘)지역, 페르시아 정복 후 약탈
- 이집트(동로마 제국 소속이지만 깊은 쇠락에 빠짐) : 아랍에 의해 4년만에 정복됨
- 칼리프 우마르 : 알렉산드리아의 장서 없앰
- 메카 -> 페르시아, 인도, 이집트,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아랍인 뻗어나감
- 우마르 사후 칼리프가 여럿 선출되어 서로간의 통합 x,  잔혹한 싸움을 벌임

661 우마이야 칼리파국 창건(∼750)
670 아랍 군대 :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점령하고자 함 -> 7년간 버팀, 아랍인 물러남. 대신에 시칠리아 정복
711 이베리아반도(스페인,포르투갈 지역 : 게르만족 대이동 후 서고트족이 지배) - 이슬람교도의 지배를 받게 됨
아랍인 메로빙거 왕조가 다스리는 프랑크 왕국으로 진격,
732 프랑크왕국 카롤루스 마르텔이 아랍인을 물리침 (무함마드 사후 정확히 100년이 되는 해)

오늘날 이슬람교도 : 페르시아, 인도 일부 지역, 메소포타미아(이라크)와 팔레스타인의 아랍인,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등
아랍인
- 아라베스크 발달 : 우상숭배에 대한 일체의 기억을 말소시키기 위해 사람이나 동물을 그리는 것 마저 금지, 궁전이나 사원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구불구불한 선으로만 장식됨.
- 그리스의 학문 복구, 종이를 유럽에 전파(중국으로부터), 아라비아숫자 발명(로마숫자에 없는 자릿수 탄생)

내용 출처 : <곰브리치 세계사> (에른스트 H. 곰브리치 지음, 클리퍼드 하퍼 그림, 박민수 옮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