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간의 궤적

[곰브리치 세계사 上] 문명의 탄생 ~ 페르시아 전쟁

think-25 2024. 7. 19. 13:52

이집트 (나일강)
- B.C 3100 : ‘王 메네스’ (최초의 파라오)
- 여러 신들을 믿는 가운데 파라오는 태양의 신(아몬)의 아들로 여겨짐
- 막강한 권력 ex) B.C 2500 : ‘王 쿠푸’ 피라미드
- 스핑크스 (사자의 몸 + 사람의 머리)
- 미라 : 죽은 사람의 영혼은 육체를 필요로 하기에 시체를 썩지 않게 보존
- 상형문자, 파피루스
- 예절, 풍습 등 전통을 신성시 함 (3000년 역사 중 단 2번의 저항)
- 1. B.C 2100  ‘王 쿠푸’ 사망 후 백성들의 저항
- 2. B.C 1370  ‘王 이크나톤’ - 유일신(태양신) 경배, 사원폐쇄, 새로운 양식 등 (사후 바로 원상복구)
- 페르시아 王 캄비세스 에 의해 종말

https://web.cocc.edu/cagatucci/classes/hum213/Maps/M6_1.jpg


메소포타미아 (유프라테스 & 티그리스)
- 그리스어 ‘강물 사이의 나라’
- 서아시아에 위치. 두 강은 페르시아만으로 흘러감
- 바빌론 : 바빌로니아의 수도 / 니네베 : 아시리아의 수도
- 여러 민족이 번갈아 가며 터를 잡았고, 지배자 또한 여러번 바뀜 (이집트와의 차이점)
- 수메르인, 바빌로니아인, 아시리아인 : 상업 민족
- 수메르인 : B.C 3100 진흙 벽돌로 집과 사원을 지음 (이집트인이 최초의 문명이라 믿어온 통념 뒤집힘)
- 우르 : 페르시안만 근처 평지, 성경에서 아브라함의 선조가 살던 곳. 이집트 쿠푸왕 피라미드와 거의 동시대 만들어진 무덤 발견됨
- 쐐기문자 사용, 점토판에 글을 쓰고 가마에 구워 단단하게 만듬
- B.C 1700 ’王 함무라비‘ :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지배한 초기 바빌로니아의 왕, 법전
- B.C 600 ‘王 네부카드네자르‘ : 바빌로니아의 마지막 왕, 대규모 수로와 저수지 건설, 이집트와의 전쟁, 바빌론 유수(B.C 586)
- B.C 538 페르시아인에 의해 바빌로니아 왕국이 멸망

BC 1700년 함무라비의 바빌로니아 제국
BC 601년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신(新)바빌로니아 제국

 

메소포타미아 지도


유대인
-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사이 넓은 목초지
- 유일신을 섬김 (유대교)
- 성경 속 고대 바빌로니아
- 아브라함(B.C 1700) : 우르 출생
- 바벨탑 : 바빌론
- 노아의 대홍수 : 메소포타미아 무대
- 요셉 : 이집트로 팔려가 후일 파라오의 고문이 됨.
- 모세 :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에서 데리고 나와 황무지로 이끔 (B.C 1250)
-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작은 왕국 건설 (아브라함 이래 선조들이 살았던 땅)
- 최초의 왕 : 사울
- B.C 1000 솔로몬 왕, 사후 유대인 상황 악화 : 이스라엘 왕국(헤브라이 왕국) 과 유대왕국으로 분열
- B.C 722 이스라엘 왕국 : 아시리아인에게 정복되어 멸망
- B.C 586 바빌론 유수 : 예루살렘 파괴, 유대인 바빌론으로 끌고 감 (네부카드네자르왕), 약50년간 포로 생활
- 이후 유대인은 스스로를 고립시키며 유일신을 믿지 않는 타 민족을 배척, 성경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

-알라딘 eBook <곰브리치 세계사> (에른스트 H. 곰브리치 지음, 클리퍼드 하퍼 그림, 박민수 옮김) 중에서


페니키아
- 항구도시 : 티루스, 시돈
- 해양민족, 상인, 수공업자
- 유대인과 가까운 지역 / 언어, 종교적인 면에서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민족과 비슷
- 문자 발명. 오늘날 알파벳의 시초

그리스
- 여러 왕, 소규모 도시
- 해양 민족, 무역보다는 전쟁에 주력 (호전적)
- 해적질(성곽의 귀족), 대다수 평민 농사, 가축 키움
- 전통을 고수하는 것에 가치를 두지 않음 (해양민족-바다의 시시각각 변화, 이민족 약탈, 전쟁일삼음)
- 유연한 사고방식,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임
* 크레타
- 그리스의 도시를 지배, 공물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
- 당대 이집트, 바빌로니아 벽화와는 다름 (특이한 민족) - 자연스러운 묘사
- B.C 1200년경 소멸, 이 무렵 새로운 민족이 그리스반도(미케네, 크레타…)로 이주해 옴.
- B.C 800년경 호메로스 서사시 : 이민족과 고대 미케네왕들의 이야기를 섞음
- 도리아인, 이오니아인, 에올라인 등
- 도리아인 : 스파르타 거주 (펠로폰네소스반도; 그리스반도 최남단)
- 이오니아인 : 아테네 건설 (아티카반도; 펠로폰네소스반도 북부),
- 항해술 뛰어남 -> 아테네 이웃 작은 섬을 서서히 점령 : 이오니아 제도
- 더 멀리 진출해 그리스 반도 맞은편 소아시아 해안지역에 도시 건설 : 페니키아인 무역

-알라딘 eBook <곰브리치 세계사> (에른스트 H. 곰브리치 지음, 클리퍼드 하퍼 그림, 박민수 옮김) 중에서


페르시아
- 메소포타미아 북부 산악지역
- 빛과 태양 숭배
- 수백년 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지배 받음
- 王 키루스
- 기마대를 이끌고 바빌론 평원으로 진격, 승
- B.C 538, 포로 유대인 해방 -> 예루살렘 돌아감
- 이집트 정벌에 나서는 중 死
- 王 캄비세스
- 키루스의 아들
- 이집트 정복, 파라오 폐위 : 이집트 왕국 종말
- 王 다리우스
- 이집트~인도 국경까지 이르는 광대한 제국 내 통치력 원함
- 이오니아인의 식민도시가 있는 소아시아까지 제국 확장
- but 그리스인 반란 일으켜 페르시아 관리를 내쫓음 (아테네인의 도움)
- 1차. 아테네 파괴, 그리스 본토 정복 위해 대규모 함대를 파견했으나 폭풍과 암초에 침몰
- 2차. 마라톤 상륙(B.C 490)
- 밀티아데스(아테네 사령관)의 지혜
: 페르시아군이 후퇴한 것이 아니라 무방비 상태의 아테네로 전환한 것임을 간파
-> 육로로 전령을 보내 아테네인에게 경고하도록 함. -> 예상치못한 그리스군을 마주한 페르시아군 고국 복귀
- 王 크세르크세스
- 이집트, 바빌로니아, 페르시아, 소아시아 모든 페르시아 지배 민족 동원 대군 조직
- 3차 육군+함대 침공
- 그리스 북부 : 스파르타 동맹군, 테르모필레 전투 승
- 아테네 함대 (테미스토클레스 주도) 살라미스 섬 주둔
- 페르시아 육군 아테네 도착, 텅 빈 도시 불태움.
- 그리스군 함선의 기동성이 훨씬 뛰어나 다도해에서 유리, 승리 (B.C 480)
- 페르시아 육군 플라타이아 근방에서 참패

BC 552년 키루스 대왕의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제국 - 메디아 정복
BC 539년 키루스 대왕의 신바빌로니아 정복
BC 525년 캄비세스 2세의 이집트 정복
BC 513년 다리우스 1세의 유럽 진출


인도 (인더스 강)
- B.C 2500, 인더스 강 유역 ‘모헨조다로’ 거대 도시 발달 (수메르인, 우르 동시기)
- 오늘날 인도 파키스탄 사는 사람들은 훨씬 후에 이주해 온 종족 (페르시아어, 그리스어와 유사, 인도*게르만어 사용)
- 이주민은 토착민을 복속시키고 그들의 후손은 점차 인도 대륙 대부분을 장악
- 카스트 제도 : 신분의 엄격 구분, 영원함
- 브라만 : 사제, 최고의 카스트 계급
- 파리아 : 카스트에도 속할 수 없는 불결한 계급
- 고타마 왕자 (B.C 500년 경) : ‘부처’, 그를 따르는 교단 : 불교
- 불교 : 해탈, 욕망도 괴로움도 없는 무의 경지-열반

중국
- 왕이 있었으나 여러 제후의 세력이 강함
- 말은 다르지만 문자(한자)가 같음
- B.C 500년경 (부처) : 공자의 유교(仁)
- vs 노자 (道)
- B.C 221, 최초의 항제 진시황

내용 출처 : 알라딘 eBook <곰브리치 세계사> (에른스트 H. 곰브리치 지음, 클리퍼드 하퍼 그림, 박민수 옮김)  
지도 사진 출처 : https://lazy-guy.tistory.com/696